그저 사회에 흐름에 따라 살아가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잃어버리고
삶의 주인이 되기를 포기한 사람들을 보면 안타까울 뿐이다.
-
나는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할 자유를 누구보다 갈망했다. 그래서인지 어릴 때 다 하라던 학교 공부도 안 하고, 성인이 되기 전까지 정말 많은 학업 스트레스를 받아냈다. 이러다가 고등학교도 못 들어가고 실업계를 가야 한다, 너 대학교도 못 들어갈 거라고. 학생 때는 이런 내가 걱정된 부모님이 나를 억지로 학원에 보냈다. 체벌은 기본이고 스케줄도 너무 힘든 학원에 학교 공부가 점점 싫어졌다. 고등학교 1학년 때, 부모님과의 계속된 갈등 끝에 학원을 모두 끊고 내가 하고 싶은 공부만 하기로 했다. 고등학교는 다니기만 하고 시험공부는 하나도 하지 않았고 심지어 시험을 아예 안 본 날도 많았다. 항상 고등학교에 노트북을 들고 가서 맨 뒷자리에서 컴퓨터 공부를 했다. 고등학교 3학년때는 수능을 보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대학교에 입학했다, 교수님의 코딩 수업을 들으면서 내가 더 잘 가르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교수님에게 허락을 받고 다른 반 수업까지 들어가서 이해를 못 하는 친구들에게 설명해 주고, 수업이 끝나면 따로 모아서 과외도 해줬다. 그러자 중고등학교 때에는 학업 성적으로 무시당하던 내게, 친구들은 꿈이 있고 잘하는 게 있는 내가 부럽다고 했다. 좋아하는 일도 있고 그것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내가 부럽단다. 중고등학교 때에는 나의 미래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제는 사람들이 나보고 비전이 있다. 너는 정말 성공할 사람이다. 멋있다. 이런 말을 끝도 없이 한다. 내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 건, 나는 딱히 이런 사람은 아니라는 것이다. 나는 그저 내 삶의 주인이 되길 포기하지 않은 사람이다. 내 삶을 내가 좋아하는 일만 하며 긍정적인 감정으로 꽉 채울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이다. 그래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것은, 우리의 미래는 '지금' 만들어지기에, '지금' 행복해야 '미래'가 행복할 것이라는 거다. '미래'를 위해 '지금'을 불행하게 보낸다면, 결국 '미래'도 불행하리라는 것이다. 하나뿐인 소중한 삶, 행복해야 할 삶을 낭비하지 않길.
이번연도는 발화점🔥 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 OpenAI - GPT : Evolution의 시작
2023년부터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AI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GPT-3.5도 비슷한 시기에 나왔고, 2023년 3월 14일에 GPT-4가 출시되었다. GPT-4는 나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들을 놀라게 하기에 충분한 성능이었고. AI는 내 학습 곡선을 정말 말도 안 되게 가속화시켰다. 마치 다재다능한 전문가 과외선생님이 나를 1:1 코치하는 것처럼. 내게 모르는 것을 모두 배울 수 있는 힘을 주었다.
그 뒤로 LLaMA, Gemini 등 많은 AI가 나왔고, 모두 사용해 봤지만 아직까지는 GPT-4가 제일 성능이 좋아 보인다.
🤖 2023 첫 프로젝트 - AI 판사와 AI 경찰
https://www.youtube.com/watch?v=P0FpO5z8Ick
2023년의 전성기 기술 AI를 활용해서 재밌는 프로젝트를 진행해 봤다.
바로 디스코드 봇인데, AI가 규칙을 위반하는 채팅을 발견하면 제재(채팅금지)를 먹이는 프로젝트다.
korcen이라는 한국어 욕설 검열 모듈 개발자의 도움도 받아서 욕설 관련 규칙에 대한 정확도를 올리는 작업도 병행했다.
직접 채팅을 분석하고 어떤 규칙을 어겼는지 판단한 뒤 제재하지만, 양형 사유와 앞뒤 상황까지 고려해서 제재를 한다는 것은 정말 큰 놀라움이자 장점이다. AI가 알아들을 수만 있는 형태라면 말도 안 되는 규칙을 추가할 수도 있다. (애교 금지라던지)
자매품으로, AI 판사도 만들었었다.
https://www.youtube.com/shorts/tWoPyDwAlvM
판사 봇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건에 대해 커뮤니티 경고를 매길 수 있는 봇이다. 인간이 객관적으로 다루기 힘든 복잡한 사안까지 여러 요소를 고려해서 적절한 제재를 한다.
🧬 42 서울 - Innovaction Academy
대학교에 4년과 3200만 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는가?
차라리 대학교를 자퇴하고 프랑스 IT 아카데미의 한국 캠퍼스인 42 서울에 지원하여 Cadet(본교육생)이 되고 싶었다.
Innovaction Academy 답게 코딩 실력 외엔 아무런 스펙도 보지 않는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고, 교육생 선발과정 중의 La Piscine 시험의 방식도 정말 낭만 있다고 생각했다.
2023년 9월 18일에 기억력, 논리력 시험과 체크인 미팅을 통과했고 최종 과정인 La Piscine만을 남겨뒀다.
안타깝게도 2024년 상반기 La Piscine 과정이 예기치 않게 취소되었고.
앞으로의 시간을 어떻게 소비해야 할지, 대학교는 다녀야 할지, 그만둬야 할지, 편입해야 할지, 개발 캠프로 가야 할지, 독학해야 할지. 모든 것이 아직 결정되어있지 않다.
🎬 다시 돌아온 YouTube Partner
2023년 11월 13일 유튜브 파트너가 승인되었다. 이제 다시 다양한 도구와 함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가 되었다.
앞으로 유튜브를 어떻게 성장시켜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원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는 장소가 되었으면 좋겠다.
파트너를 위해 부득이하게 조회수가 2,000,000회인 영상을 지웠다.
2023년 말 기준 구독자는 1.45만 명. 총 조회수는 4,649,478(+2,000,000)회다.
이번 연도에 AI에 대한 스케치 영상도 잠시 올렸었다.
추가로, 영광스럽게도 2023년 8월 24일에 유튜버 1분과학님과 함께 썸네일을 만들 기회가 있었다.
정말 좋아하는 유튜버인데!! 여러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다.
👩🏻💻 스터디 노트 평가 시스템 - 일일 공부 시작
23년 11월 6일부터 매일 학습하고 스터디 노트를 제출하면, AI가 평가해서 점수를 매겨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 게으른 저는 최근 알고리즘 공부의 부재를 느꼈으며.
- 프레임워크보다는, 로우레벨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따라서 저를 아래와 같은 제도에 가두고 수련하려고 합니다.
제도: 하루에 한 번 스터디 노트를 push한다. push를 하지 않거나 AI가 탈락을 선언하면 탈락한다.
이건 그냥 토이 프로젝트였지만 덕분에 실제로 매일매일 공부하는 것이 습관이 되어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벌써 학습 노트를 43번 제출했고, 요즘 정말 높은 학습 효율을 보여주고 있다.
https://github.com/Hacanna42/acmicpc-study.git
⚡ C++과 백준 알고리즘 학습 시작
모두의 코드에서 C++ 학습을 시작했다. 학습 계기는 컴퓨터 알고리즘 및 구조를 더 깊은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함이었고.
현재 알고리즘과 병행해서 계속 학습하고 있다.
백준도 기초부터 정말 튼튼하게 다지기 위해 난이도별로 수록된 모든 문제를 기초 난이도부터 풀고 있으며, 앞 단계의 문제 93개를 모두 풀고 현재 레벨 12: 브루트포스 단계를 풀고 있다. (57단계까지 있다)
현재 solved.ac 랭크는 시작 7일 기준 Silver 4이며 단기적인 목표는 Gold 승급이고, 장기적인 목표는 Platinum이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며 수학 지식이 많이 부족함을 느낀다. 다행히 수학 능력이 낮다고 느끼진 않다, 지식을 지금이라도 채워가기 위해 노력하는 중. 오히려 내가 학생 때 학업에 관심이 많았다면 수학을 좋아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 산타 프로젝트: 2023년엔 선물을 받을 수 있을까?
대망의 2023년 두 번째 토이프로젝트는 크리스마스 편지 서비스였다.
나만의 편지함을 만들고 친구들이 링크를 통해 편지를 써주면. 그 편지를 토대로 AI 산타가 착한 아이인지 나쁜 아이인지 분석해서 선물을 받을 수 있는지! 받을 수 있다면 어떤 선물일지 추천해 주는 AI 서비스다.
2023년의 Key 기술인 AI를 활용한 재밌는 서비스가 없다고 생각해서 만들어봤다. 특별히 이번 프로젝트는 가족 3명이서 개발했다. (큰 누나, 큰누나 남편, 나)
이번 프로젝트는 나에게 있어 거의 새로운 도전이었다, 새로운 환경에서 정말 제로-베이스로 개발을 시작했다. 개발을 위해서 공부와 병행했다. 내가 단기간에 정말 미친 퍼포먼스를 뽑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나에겐 시간도 없고 관련 지식도 부족했는데. 해냈다.
나는 프론트를 제외한 모든 작업을 맡았다. (인프라, 백엔드 등)
Application Stacks
- Obsidian으로 명세, 구조 관리를 했다.
- React(Create react app)으로 프론트를 개발했다.
- Spring Boot로 REST API를 개발했다.
- Flask로 API를 개발했다.
- AWS EC2로 서버를 개발했다. (Load Balancer, Auto Scaling, AWS RAF 등)
11월 20일부터 12월 12일까지 배운 것들
모든 일자에 대한 작업 기록이 github에 커밋되어 있다.
https://github.com/Hacanna42/acmicpc-study
2023년 11월 20일 ~
- Git과 Obsidian 연동하는 법
- 산타 프로젝트 기획
2023년 11월 25일 ~
- openAI API 토큰 호출 계산하기
- wordslist 추출하기
( 이때 몸살감기에 걸려서 개발 속도가 늦어졌다. )
2023년 11월 28일 ~
- AWS EC2 서버 띄우는 법
- 리눅스의 ~/.ssh/ 경로에 대하여
- systemctl, mysqld란?
2023년 11월 29일 ~
-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API request limit 상향 요청
2023년 11월 30일 ~
- Spring과 Spring Boot란?
- Maven과 Gradle
- 디자인 패턴(생성, 구조, 행동)이란
- REST API와 CRUD에 대하여
- pom.xml에 대하여
- MVC 패턴이란? (DAO, DO, MVVM, MVP)
- 기본 GET API 예제 실습(@RestController, @RequestMapping, @GetMapping 등)
2023년 12월 1일 ~
- JPA와 Hibernate의 구조에 대하여
2023년 12월 2일 ~
- Spring과 MySQL 연결하기
- CORS란
2023년 12월 3일 ~
- Elastic IP란?
- scp 통신
2023년 12월 4일 ~
- Route 53으로 도메인 설정하는 법
- nginx로 AWS EC2에 React 띄우는 법
- 로드밸런서의 이해와 설정
- SSL 인증서에 대한 이해와 설정
- UserID PK를 Hash로 변환해야 하는 이유
2023년 12월 5일 ~
- 해쉬 알고리즘에 대하여
- 8080포트에 SSL 인증 (로드밸런서에 대한 이해)
- 서버 리전 마이그레이션 (시드니 -> 서울)
2023년 12월 6일 ~
- llamafile과 Cosmopolitan에 대하여
2023년 12월 7일 ~
- 구글 에드센스 적용
- robots.txt와 ads.txt
2023년 12월 8일 ~
- HTTP METHOD: PATCH에 대하여
- JPA Converter이란?
- Rewind AI 세팅
- Swagger에 대한 이해와 설정
2023년 12월 9일 ~
- Auto Scaling에 대한 이해와 설정
- AWS EC2 인스턴스 유형 변경
2023년 12월 10일 ~
- AWS Lambda와 AWS RAF에 대한 이해 및 설정
- Rate-Based Blacklistening이란?
- AWS Shield Advanced란?
- audit trail을 남겨야 하는 이유
2023년 12월 11일 ~
- cloudwatch 경보 설정하는 법
- Jmeter로 부하 측정
- 사이트 도메인 CS 이메일 생성
- Blue-Green deployment 전략에 대하여
- AWS Code Deploy로 무중단 배포 구현하는 법
2023년 12월 12일 ~
- API 브루트포스 방어
- 계정 무작위 생성 방어
- 편지 무작위 생성 방어
- PIN번호 무작위 입력 방어
- 최종 프론트 확인
- 최종 백엔드 확인
- 최종 보안 확인
- 배포
배포 이후 ~
- 각종 수정 사항
- 실시간 분석 그래프 추가
- AI 선물 생성 관련 API 개발
- 분석 확인 창 추가
- 프로젝트 종료.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정말 진행하면서 배워야 할게 많았다. 이렇게 짧은 시간 안에 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기술을 모두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었는지, 깨달음도 많이 얻고 내 역량에 대해 자신감을 갖게 되는 프로젝트였다.
🪖 전역
국방의 의무를 모두 마치고 전역했다.
🔮 앞으로의 계획
사실 큰 계획은 아직 없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모든 것이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다.
계획이라기보다 요즘 생각하고 있는 하고 싶은 것들은
- 알고리즘 공부. 백준 플래티넘 달성하기
- Native급의 English Speaker가 되고 싶다. 어학연수 가기
- (알고리즘 능력이 선행되고 나서) 다양한 도구와 Framework로 원하는 서비스 만들기
- CTO급의 기술 스택 쌓기
난 사람들이 교육과 지능을 혼동하는 게 싫다. 당신은 대학을 졸업하고도 여전히 바보일 수 있다
- Elon Musk -
'연말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회고 - 내 삶 2024 (0) | 2025.01.21 |
---|---|
연말회고 - 2021년의 첫 발걸음 그리고 장애물 (0) | 2022.01.25 |
연말회고 - 행운만 가득했던 2020년 (1) | 2020.12.28 |
연말회고 - 2019년은 나에게 무엇이었나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