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LDF 프로젝트는 기존에 안드로이드만 지원했던 LDF 앱(가명)을 Android, iOS, Web(PC)에서 지원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는 앱 리뉴얼 프로젝트입니다. LDF 앱이란 제가 고등학교 1학년 때(2018년 12월 22일) Android Studio와 JSP로 만들고 출시한 안드로이드 앱이고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습니다. 가명을 사용하는 이유는 제 앱을 인터넷에 검색해 볼 수 있는 유저 분들에게 블로그 글을 노출시키지 않고 싶어서입니다. (리뉴얼 버전 개발의 상세 정보를 공개하고 싶지 않음) 아래는 기존 LDF 앱(안드로이드)의 통계입니다.앱 사용자: 2.51만 명활성 앱 사용자(현재): 2.2천 명앱 회원가입 유저: 1.27만 명총 일기장 작성: 12.42만 개 기존의 LDF 앱은 고..
드디어, 크리스마스 팝업 이벤트 AI 산타의 기획을 시작하고 22일이 지난 오늘(12월 12일) AI 산타의 배포가 시작되었다. 아직 업데이트해야 할 중요 로직이 있지만, 크리스마스까지 시간이 꽤 남았기 때문에 주요 기능들과 보안 조치만 하고 배포를 시작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나에게 있어 거의 새로운 도전이었다, 새로운 환경에서 정말 제로-베이스로 개발을 시작했다. 개발을 위해서 공부와 병행했다. 내가 단기간에 정말 미친 퍼포먼스를 뽑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Application Stacks - Obsidian으로 명세, 구조 관리를 했다. - React(Create react app)으로 프론트를 개발했다. - Spring Boot로 REST API를 개발했다. - AWS E..
현재 전성기인 AI 기술을 사용해서 재밌는 토이 프로젝트를 만들어봤다.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아이디어는 정말 많았고, 프로토타입은 다 구현해 봤는데. 제대로 쓸 수 있게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판사 봇과 경찰 봇. discord.py로 메신저 앱 Discord에서 시연중이다. AI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서도 약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 지구의 기술 중 최상단에 있는 AI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오픈소스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는데. 내가 만든 프로젝트들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면 다른 사람들한테 도움이 될 것 같았다. 그래서 아마 이 프로젝트들은 오픈소스로 공개할 듯. 지금까지는 보안 이슈 등으로 코드를 공개하지 않았는데, 잘 생각해보면 본인 코드의 허점이 인터넷에 까발려지는 걸 ..
사용자를 등록하면, 실시간으로 스팀 온라인/오프라인 현황을 체크해주는 사이트를 JSP로 개발했다. 사용자 등록은 DB를 활용했고, 현황 체크는 크롤링을 활용했다. 처음 DB, 서버 배울때 어려웠던게 기억나는데 지금은 하루만에 이런 서비스를 뚝딱 만드는 걸 보면 많이 성장한 것 같다. 역시 시작이 반인 것 같다. 처음에는 다른 사이트에서 유저 정보를 조회한 값을 크롤링 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새로고침 딜레이가 너무 길어서 중간에 그냥 스팀 사이트를 직접 크롤링 하는 방법으로 변경했다. 근데, 가끔 프로필을 비공개로 설정한 유저가 있으면 오프라인도, 온라인도 뜨지 않아서 따로 처리해주었다. 직접 mySQL에 접속하지 않고 유저 등록을 하기 위해 따로 post링크도 만들어놓았다. 개발한 사이트 링크나 사진은..
findmask 서비스 개발 관련 게시글을 SNS에만 올리고 블로그에는 올리지 않아서 늦게라도 올립니다. findmask라는 주변 공적 마스크 판매처 정보 (수량, 입고일 등) 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3월 14일에 정식 오픈했다. 판매처 정보는 마스크판매처api 를 정부에 직접 요청해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findmask 관련 인터뷰도 많이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zGvF7prxaU&feature=youtu.be&fbclid=IwAR1RLYzqDzzZejTLDb7rujQwU6dFJO8E9Rv12qeh908l20gjOyxUcSbrGNw https://findmask.kr
memorial31 프로젝트를 마감했다, 오늘 홍보할 예정이다. 같이 작업 한 운영진분들과 몇 시간 동안 음성 채팅하면서... 삽질도 많이 하고... 그렇게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SemiColon 학생 운영진의 uvirus.kr 개발 이야기가 기사에 나왔습니다.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886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2988086625667240 http://news.ebs.co.kr/ebsnews/allView/20232004/N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86230&kind= http://www.bloter.net/archives/370038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05/2020020500508.html http://..
드디어... 6일 동안 잠도 못 자고 만든 실시간 코로나19 맵을 완성했습니다. 맵 링크: http://uvirus.kr (현재 운영 종료됨)
끄적끄적이라는 앱을 출시했다. 이 앱은 혼자 끄적일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을 제공하는 앱이다. 매우 심플한 앱이다. 앱을 실행하면 EditText 하나밖에 없다. 이게 끝이다. 그리고 스와이프를 통해 삭제, 복구, 테마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밑은 앱 설명이다. 우리는 힘든 일이 있거나 마음을 다쳤을 때 무언가 할 것을 찾습니다. 그게 일이든 취미생활이든 수다든 뭐라도 하고 나면 조금은 스르르 풀리고 힘든 것도 아픈 것도 완전히 사라지진 않겠지만 어느 정도 옅어지며 안정을 되찾는 게 마음입니다. 마음을 끄적여보세요. 처음엔 낯설게만 느껴지고 잘 끄적일 수 없을 것 같지만 익숙해지면 누구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는 남모를 고민도 속 시원히 털어놓을 수 있는 좋은 친구가 되어줄게요.
빅스비 호출 버튼을 아이폰의 무음 스위치처럼 바꿔주는 앱을 출시했다. 구현이 많이 힘들었다. 왜냐면 삼성은 빅스비 호출 버튼을 커스텀 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 생각을 달리해서 개발해보았다. 안드로이드 빅스비 설정에 가보면 빅스비 버튼을 눌렀을 때 다른 앱을 실행시키는 기능만은 지원해준다. 그래서 앱을 위젯처럼 실행하자마자 작동하는 형식으로 개발한 뒤, 빅스비 버튼을 누름으로써 방해금지 모드를 껐다 키는 커스텀 앱이 개발되었다!
루시드 드림(자각몽)에 관한 전문적인 정보와 도구를 제공해주는 '루딘프' 라는 어플을 19년도 1월 4일에 처음으로 플레이스토어에 출시하였다. 다양한 기능이 있고, 대표적으로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사용자의 꿈 일기장을 서버에 안전하게 저장해주는 '꿈 일기장' 이 있다. 아래는 출시 당시 꿈 일기장 화면을 캡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