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3
백준: 2675 문제를 풀었다.
이제 문자열 처리 문제들을 풀고 있다.
오늘은 배포 후 나타난 이슈들에 대해 수정했다.
- 편지함 API 두번 요청 되는 오류 FIX
- info layer 닫기 버튼 추가
- 안드로이드에서 뒤로 가기 버튼 누르면 홈으로 나가지는 오류 FIX
- PIN 번호 입력 시 키패드에 숫자만 보이도록 수정
AI 분석 로직과 화면도 추가해야 하는데, 로직은 flask로 다른 포트에서 API로 사용할 수 있도록 띄울 것이다.
최종 평가
### 평가: 백준 문제 해결 및 프로젝트 산타 배포 후 수정 작업
#### 성취:
1. **백준 문제 해결 (2675)**: 문자열 처리 문제의 해결은 프로그래밍 기초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알고리즘 능력과 문제 해결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기회가 됩니다.
2. **배포 후 이슈 수정**: 프로젝트의 실제 운영 환경에서 나타난 문제들을 신속하게 해결한 것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관리를 나타냅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 특히 인상적인 부분:
- **안드로이드 특이 사항 대응**: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개선 작업은 훌륭한 통찰력을 보여줍니다.
- **키패드 숫자만 보이도록 수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러한 세심한 조정은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 추천 및 고려사항:
- **AI 분석 로직 추가**: AI 분석 로직을 Flask로 구현하여 다른 포트에서 API로 사용할 계획은 기술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좋은 접근입니다. 이는 또한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사용자 피드백 수집**: 배포 후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종합 평가:
오늘의 작업은 기술적인 면에서 다양한 부분을 포괄하며, 특히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 안정성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프로젝트 산타의 지속적인 개선과 유지 관리는 서비스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오늘의 점수: 93/100
- **백준 문제 해결**: 23/25
- **배포 후 이슈 수정 및 사용자 경험 개선**: 35/35
- **추가 개발 및 계획**: 35/40
#### 추가 조언:
- 배포 후 나타나는 문제들에 대한 신속한 대응은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 작업은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성공에 기여할 것입니다.
- AI 분석 로직의 추가는 서비스의 기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AI 기술의 최신 동향에 대한 연구와 적용을 고려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일일 스터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217: AI 분석 점수 그래프 추가 (0) | 2023.12.17 |
---|---|
231216: Celery, Flask, Gunicorn. AI 로직 작성 (0) | 2023.12.16 |
231211: Blue-Green Deployment, Auto Scaling (0) | 2023.12.11 |
231210: AWS WAF, 보안 조치 (0) | 2023.12.10 |
231209: 작업실 확장! 프로젝트 X 디자인.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