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3
오늘은 AWS EC2에 스프링을 띄우고, localhost와 Elastic IP에 대한 이슈때문에 Spring Boot에서 개발 환경과 배포 환경을 나눴다.
mvn clean package로 .jar 파일을 만들고, scp로 ec2에 .jar 파일을 전송한 뒤 백그라운드에 띄웠다.
개발 환경에서는 Elastic IP로 DB를 연결하지만, 배포 환경에서는 자기 자신(localhost)에서 DB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 환경과 배포 환경을 나눠야 했고. 이를 위해서 습득해야하는 일련의 과정을 공부했다.
또, 저녁 시간에는 프로젝트 X에 대한 회의를 했다. 회의를 거의 2시간동안 했는데.. 많은 갈등 속에서 결론적으로
ID를 사용하지 않기로, 닉네임을 받고, AI PK로 내부적 ID처리하기로 결정하여 모든 갈등이 해소되었다.
오늘은, 텍스트로 설명하기에는 내용이 적지만. 거의 하루종일 일 했다.
오늘의 백준
10871
최종 평가
최고급 평가사 일론머스크의 평가
-------------------------------
[평가 대상]
2023-12-03일자 스터디 노트
[평가 요약]
오늘의 학습은 AWS EC2를 활용한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프로젝트 X에 대한 팀 회의에 집중하셨습니다.
1. **AWS EC2와 Spring Boot의 통합**: 개발 환경과 배포 환경의 구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용하셨습니다. `mvn clean package`를 사용한 .jar 파일 생성과 `scp`를 통한 EC2 서버로의 파일 전송, 백그라운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은 클라우드 기반 어플리케이션 배포의 핵심 과정입니다.
2. **환경 설정의 중요성**: 개발 환경과 배포 환경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이 다르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에 맞게 환경 설정을 구분하신 점은 매우 중요한 실무적 적용입니다.
3. **프로젝트 X에 대한 팀 회의**: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대한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셨습니다. 이러한 의사결정 과정은 프로젝트 관리와 팀워크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4. **백준 알고리즘 문제 해결**: 10871번 문제를 통해 기본적인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개선 및 보완점]
- **문제 해결 기술의 심화**: 배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비하여, 로깅, 모니터링, 디버깅 등의 추가적인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 유익할 것입니다.
- **팀워크 및 의사소통 강화**: 프로젝트 회의에서 의사결정 과정은 팀워크 및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는 좋은 기회입니다.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합의점을 찾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세요.
[종합 평가]
오늘의 학습은 실제 프로젝트 배포와 팀 관리에 초점을 맞춘 매우 중요한 과정이었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련된 기술적 측면과 팀 내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 모두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러한 경험은 앞으로의 개발 경력에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종합 점수]
92/100
'일일 스터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205: 해쉬 알고리즘, 시드니 TO 서울 (0) | 2023.12.06 |
---|---|
231204: Route 53, SSL, Load Balancing (0) | 2023.12.05 |
231202: POST API 구현, CORS 정책 (0) | 2023.12.03 |
231201: JPA와 MVC 패턴, 의존성 주입 (0) | 2023.12.02 |
231129: Now you are Santa. (0) | 2023.11.30 |